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동뀨의 story

WSL2에서 SSH 연결하는 방법 본문

프로그래밍/Linux

WSL2에서 SSH 연결하는 방법

이동뀨 2023. 1. 5. 22:47

EC2 인스턴스를 만들 때 생성한 SSH Key 저장 위치로 이동

SSH Key(.pem)가 있는 위치로 이동

*만약, 권한 에러가 난다면 참고: 2022.01.05 - [AWS] - WSL2: ~ are too open.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에러

1. ~ are too open. Permission denied (publickey)

1) 문제점

WSL 에서 AWS Key(.pem)을 이용하여 AWS EC2에 접속 하려고 하였으나, "~ are too open.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에러 발생.

 

2) 원인

Key(.pem)의 경우 최소한의 권한이 부여되지 않음. 여기서 최소한의 권한이란 "User에게만 Read, Write 권한 부여를 말함." (600 권한)

 

3) 해결 방법

Key파일 권한을 600으로 수정.

$ chmod 600 key-name.pem
$ ls -l

2. 파일 권한 변경 안됨

1) 문제점

Key(.pem) 파일 권한을 600으로 변경했으나 변경안됨.

 

2) 원인

윈도우 호스트 디렉토리(/mnt/c/...)에서 chmod 명령어를 사용한다면 권한 이슈 발생. 호스트 디렉토리가 아닌 홈 디렉토리(~/)에서 Key(.pem)파일 권한 변경 가능.

 

3) 해결 방법

- Key(.pem)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Key(.pem)파일을 홈 디렉토리(~/)에 복사한다.

$ cp key-name.pem ~/

 

 

- 홈 디렉토리로 이동, Key(.pem)파일 권한변경, 파일 권한 확인

$ cd
$ chmod 600 key-name.pem
$ ls -l

 

- WSL에서 SSH 키페어로 EC2 접속 (ubuntu@ 다음의 주소는 EC2의 Public IPv4 address 이다.)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Zsh 에서 homebrew사용방법  (0) 2023.01.25
내맘대로 linux커스텀 방법  (0) 2023.01.08
Git branch에 대하여  (0) 2023.01.03
Linux 환경에서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  (0) 2022.12.27
리눅스 기본명령어_1  (0) 2022.12.17
Comments